지쿠마 (방호순양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쿠마는 일본 제국 해군의 방호순양함으로, 1912년 취역하여 1935년 표적함으로 격침될 때까지 운용되었다. 영국 해군의 타운급 순양함을 모델로, 4개의 굴뚝이 특징이었으며, 15cm 함포 8문, 어뢰 발사관 등을 탑재했다. 일본 해군 최초로 터빈 기관을 채용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남태평양, 인도양 등지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1921년부터 1924년까지 중국 해역 경비 활동을 하였으며, 이후 노후화로 인해 훈련함으로 사용되다가 1931년 해군 함정 명부에서 삭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쿠마급 방호순양함 - 히라도 (방호순양함)
히라도는 러일 전쟁의 교훈을 바탕으로 1907년 일본 해군 확장을 위해 건조된 치쿠마급 방호순양함의 2번함이자 일본 해군이 건조한 마지막 방호순양함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시베리아 출병에 참전했고, 전간기에는 훈련 및 순찰 임무를 수행하다가 1940년 해군 명부에서 삭제된 후 1944년 해체되어 이와쿠니 항구의 방파제로 사용되었다. - 지쿠마급 방호순양함 - 야하기 (방호순양함)
야하기는 일본 제국 해군이 1912년 취역한 지쿠마급 경순양함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시베리아 출병에 참전했으며, 중일 전쟁 이후 훈련선으로 사용되다 1940년 해군 함정 목록에서 제외되어 1947년에 해체되었다. - 1911년 선박 - RMS 타이타닉
RMS 타이타닉은 1912년 처녀 항해 중 빙산과 충돌하여 침몰한 호화 여객선으로, 당시 세계 최대 크기를 자랑하며 2,200명 이상의 승객과 승무원을 태우고 뉴욕으로 향하다 침몰한 비극적인 사건으로 기억된다. - 1911년 선박 - SMS 괴벤
SMS 괴벤은 독일 제국 해군이 건조한 몰트케급 순양전함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스만 제국 해군에 양도되어 야부즈 술탄 셀림으로 활동하며 오스만 제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을 야기한 흑해 활동과 영국 해군의 추격을 뿌리치고 오스만 제국으로 도주한 사건으로 유명하다. - 태평양의 침몰선 - 나가토 (전함)
나가토는 일본 해군 최초의 41cm 주포 탑재 전함이자 세계 최대급 전함 중 하나였으며, 태평양 전쟁 당시 연합함대 기함으로 활동하다 미군의 핵 실험으로 침몰했다. - 태평양의 침몰선 - USS 새러토가 (CV-3)
USS 새러토가 (CV-3)는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따라 순양전함에서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태평양 전선에서 활약했으나, 종전 후 핵 실험의 표적으로 침몰하여 현재는 다이빙 명소가 되었다.
지쿠마 (방호순양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함선 정보 | |
![]() | |
함명 | 지쿠마 |
함명 유래 | 지쿠마강 |
건조 | 사세보 해군공창 |
발주 년도 | 1907년 회계년도 |
기공일 | 1909년 4월 1일 |
진수일 | 1911년 4월 1일 |
취역일 | 1912년 5월 17일 |
퇴역일 | 1931년 4월 1일 |
최후 | 1935년 표적함으로 침몰 |
소속 국가 | 일본 제국 |
함선 제원 | |
함급 | 지쿠마급 순양함 방호순양함 |
배수량 | 5,040 톤 |
전장 | 144.8 미터 |
전폭 | 14.2 미터 |
흘수 | 5.1 미터 |
추진 방식 | 2축 커티스 증기 터빈 16개 캄폰 보일러 |
출력 | 22,500 마력 |
연료 | 석탄 1,128톤 석유 300톤 |
속력 | 26 노트 (시속 48 km/h) |
항속 거리 | 10 노트 (시속 19 km/h)로 19,000 km |
장갑 | 벨트: 50–89 mm 갑판: 37–57 mm 사령탑: 100 mm |
무장 | 8 × 41식 15cm 45구경 함포 4 × QF 12 파운더 12 cwt 해군포 2 × 7.7 mm 루이스 기관총 3 × 450 mm 어뢰 발사관 |
동급 함선 |
2. 함형
지쿠마형은 일본 해군의 순양함으로 처음으로 터빈 기관을 채택했다.[2] 동형함 3척(지쿠마, 히라도, 야하기)에는 성능 실적을 조사하기 위해 각각 다른 타입의 기관을 탑재했다.[2] 지쿠마의 대형 보일러에는 과열기가 장비되어 있다.[2] 일반적으로 지쿠마형은 방호 순양함으로 인식되고 있지만(일본 해군의 법적인 분류는 2등 순양함), 선측 장갑을 가지고 있었다.[2]
2. 1. 기술적 특징
1910년 사세보 해군공창에서 기공, 1912년 5월 17일에 준공되어 이등 순양함으로 분류되었다. 일본 해군의 순양함으로서는 최초로 터빈 기관을 채용하였고, 동급함 세 척에는 성능 검증을 위해 각각 다른 유형의 기관을 탑재했다.[2]지쿠마급 순양함의 기본적인 설계는 영국 해군의 타운|Town영어급 순양함(1910년형)을 모델로 일부 수정을 거쳤으며, 利根|도네일본어형 순양함의 설계에도 크게 영향을 받았다. 지쿠마급은 키가 큰 4개의 굴뚝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었다.
''지쿠마''는 전체 길이 144.8m, 폭 14.2m의 선체를 가지고 있었으며, 통상 배수량은 5040톤, 흘수(draft)는 5.1m이었다.
''지쿠마''는 2개의 커티스 증기 터빈 엔진(총 용량 22500shp의 가와사키 중공업 제작)으로 구동되어 2개의 스크루를 돌렸다. 이 엔진에는 16개의 캄폰 보일러가 장착되었다. 새롭게 개발된 엔진은 시험에서 당시로서는 놀라운 26.87kn의 속도를 냈지만,[3] 새로운 엔진의 기어 소재 강도 문제로 유지 보수 문제가 발생하여, ''지쿠마''는 잠재력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려웠다.
이 함은 8문의 15 cm/45 41st Year Type 함포를 장착했는데, 1문은 선수와 선미에 각각 장착되었고, 3문은 선체의 양쪽에 스폰슨에 장착되었다. ''지쿠마''급 함선은 측면 무장과 주포에 동일한 무기를 사용한 것이 특이했다. 이 함포는 4문의 QF 12-파운더 12 cwt 해군포와 2정의 7.7mm 루이스 기관총으로 보조되었다. 또한, 457mm 어뢰를 장착한 3개의 어뢰 발사기를 탑재했다. 1919년 이후, 12-파운더포 3문을 대체하여 4번 굴뚝의 빔에 대공 방어를 위해 2문의 8 cm/40 3rd Year Type naval gun이 추가되었다.[3]
지쿠마형은 일본 해군의 순양함으로 처음으로 증기 터빈 기관을 채용했다. 동형함 3척(지쿠마, 히라도, 야하기)에는 성능 실적을 조사하기 위해 각각 다른 타입의 기관을 탑재했다. 지쿠마의 대형 보일러에는 과열기가 장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지쿠마형은 방호 순양함으로 인식되고 있지만(일본 해군의 법적인 분류는 2등 순양함), 선측 장갑을 가지고 있었다.
3. 건조
1907년 해군 확장 계획에 따라 러일 전쟁의 교훈을 바탕으로 설계된 지쿠마급 방호순양함의 1번함이다. 1910년 사세보 해군공창에서 기공되어[1], 1912년 5월 17일에 준공되어 이등 순양함으로 분류되었다.[13] 일본 해군 순양함 중 최초로 터빈 기관을 채용하였고, 동급함 세 척에는 성능 검증을 위해 각각 다른 형식의 기관을 탑재했다.
1911년 4월 1일, 메이지 천황의 황태자(다이쇼 천황)가 어소함 카시마를 타고 사세보에 도착하여 지쿠마 진수식에 참석했다. 진수식에는 사이토 미노루 해군 대신, 이누즈카 가쓰타로 나가사키현 지사 등 해군 중진 다수가 참석했다. 오전 9시 30분에 진수되었고,[11] 같은 날 이등 순양함으로 분류되었다.[12]
1912년 11월 12일, 도쿄 만에서 실시된 해군 대연습 관함식에서 다이쇼 천황은 요코하마 항에서 지쿠마에 승함하여 어소함으로 삼았다. 대연습 통감은 도고 헤이하치로 해군 대장이 맡았고, 선도함은 구축함 카이후, 공부함은 히라도, 야하기, 만슈였다.
4. 함력
1910년 사세보 해군공창에서 기공, 1912년 5월 17일에 준공되어 2등 순양함으로 분류되었다. 일본 해군의 순양함으로서는 최초로 터빈 기관을 채용하였고, 동급함 세 척에는 성능 검증을 위해 각각 다른 유형의 기관을 탑재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남태평양, 남중국해, 인도양에서 작전에 참가했다. 1914년 8월 말에는 영국과 공동 작전으로 인도양 · 남양 방면에서 영국 선박을 습격하던 독일의 엠덴에 작전을 펼쳤다. ‘이부키’와 함께 싱가포르를 통해 자바 방면으로 향했지만 출격 정보가 도착 며칠 전에 싱가포르에서 유출되면서 독일 측에 감지되었다. 결국 엠덴을 포착하지 못했으며, 그동안 엠덴은 벵골만에서 영국 기선 5척을 격침시켰다. 싱가포르 일본 영사관 주재 무관 아라키 해군 소령은 “싱가포르에 살고 있는 일본인이 소문을 흘려 작전이 실패해서 영국에 면목이 없다”고 일본어 신문 기자에게 주민들에게 경고하도록 요구했다고 한다.[14]
1921년부터 1924년까지 주로 중국 해역에서 경비 활동을 했다. 1934년 1월 19일, 구 지쿠마의 후부 마스트가 미나토가와 신사에 하부되는 것으로 되었다.[16]
4. 1.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지쿠마는 남태평양, 남중국해, 인도양에서 작전에 참가했다.[3] 1914년(다이쇼 3년) 8월 23일, 일본은 독일 제국에 선전포고를 했다. 같은 시기, 독일 제국 해군 동양 함대 소속 순양함 엠덴은 인도양과 남양 방면에서 영국 선박을 습격하고 있었다. 일본 해군은 영국과의 공동 작전을 통해 지쿠마와 순양전함 이부키를 싱가포르를 거쳐 자바 섬 방면으로 파견했다.[3]그러나 출격 정보가 싱가포르에서 미리 유출되어 독일 측에 알려지면서 엠덴을 포착하지 못했다. 그 사이 엠덴은 벵골만에서 영국 기선 5척을 격침시켰다. 싱가포르 주재 일본 영사관 주재 무관 아라키 해군 소좌는 "싱가포르 거주 일본인들이 소문을 퍼뜨려 작전이 실패했고, 영국에 면목이 없다"며 일본어 신문 기자에게 주민들에게 경고할 것을 요구했다고 한다.[14]
1914년 12월부터 1915년 1월까지 지쿠마와 야하기는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퀸즐랜드 해안에서 순찰 임무를 수행했다. 1917년 3월 26일, 영국 해군성은 독일의 통상 파괴 작전에 대응하기 위해 지쿠마와 히라도를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 추가 배치할 것을 요청했다.[3]
4. 2. 전간기
1921년부터 1924년까지 주로 중국 해역에서 경비 활동을 했다.[15] 1926년 무렵 요코스카 해병단 안벽에 계류되었고, 1931년 4월 1일에 제적되어 폐함 제3호로 가칭되었다.[15]1935년경 실함 표적으로 격침 처분되었다.
4. 3. 최후
1931년 4월 1일, 해군 함정 명부에서 제적되어 폐함 제3호로 가칭되었다.[15] 1935년경, 표적함으로 사용되어 격침 처분되었다.5. 역대 함장
※ 『일본 해군사』 제9권 · 제10권의 「장관 이력」 및 『관보』에 근거함. 계급은 취임 시의 것.
함장 | 계급 | 재임 기간 |
---|---|---|
가타오카 에이타로(片岡栄太郎) | 대좌 | 1911년 12월 1일 ~ 1912년 4월 20일 * 겸 사세보 해군 공창 기장원 |
야마자키 요네사부로(山崎米三郎) | 대좌 | 1912년 4월 20일 ~ 1912년 6월 29일 * 겸 사세보 해군 공창 기장원(~ 1912년 5월 17일) |
무카이 야이치(向井弥一) | 대좌 | 1912년 6월 29일 ~ 1912년 11월 13일 |
오야마다 나카노조(小山田仲之丞) | 대좌 | 1912년 11월 13일 ~ 1913년 12월 1일 |
이하라 라이이치(井原頼一) | 대좌 | 1913년 12월 1일 ~ 1914년 2월 26일 |
시모다이라 에이타로 | 대좌 | 1914년 2월 26일 ~ 1914년 4월 7일 |
(겸) 오야마다 나카노조(小山田仲之丞) | 대좌 | 1914년 4월 7일 ~ 1914년 5월 6일[17] |
사카모토 노리토시(阪本則俊) | 대좌 | 1914년 5월 6일 ~ 1915년 2월 1일 |
(득) 마쓰무라 기쿠유 | 중좌 | 1915년 2월 1일 ~ 1915년 8월 6일 |
(득) 타구치 히사모리(田口久盛) | 중좌 | 1915년 9월 25일 ~ 1915년 12월 13일 |
타구치 히사모리(田口久盛) | 대좌 | 1915년 12월 13일 ~ 1916년 1월 28일 |
타지리 타다지(田尻唯二) | 대좌 | 1916년 1월 28일 ~ 1916년 12월 1일 |
무타 카메타로 | 대좌 | 1916년 12월 1일 ~ 1918년 2월 12일 |
나카가와 히로시(中川寛) | 대좌 | 1918년 2월 12일[18] ~ 1918년 6월 1일[19] |
(겸) 이다 엔타로 | 대좌 | 1918년 6월 1일[19] ~ 1918년 7월 5일 |
(겸) 오치다 모리시게(大内田盛繁) | 대좌 | 1918년 7월 5일 ~ 1918년 9월 25일 |
오미 헤이시로(大見丙子郎) | 대좌 | 1918년 9월 25일 ~ 1918년 11월 1일 |
(겸) 오미 헤이시로(大見丙子郎) | 대좌 | 1918년 11월 1일 ~ 1918년 11월 25일 |
스에쓰구 노부마사 | 대좌 | 1918년 12월 1일 ~ 1919년 8월 5일 |
요코치 조지(横地錠二) | 대좌 | 1919년 8월 5일 ~ 1920년 12월 1일 |
시라이시 노부나리(白石信成) | 대좌 | 1920년 12월 1일 ~ 1921년 11월 20일 |
(득) 나가노 에이사(永野永三) | 중좌 | 1921년 11월 20일[20] ~ 1921년 12월 1일 |
나가노 에이사(永野永三) | 대좌 | 1921년 12월 1일[21] ~ 1922년 11월 20일[22] |
타오카 카츠타로(田岡勝太郎) | 대좌 | 1922년 11월 20일 ~ 1923년 6월 1일 |
구리하라 유우지(栗原祐治) | 대좌 | 1923년 6월 1일[23] ~ 1923년 11월 20일[24] |
(득) 나카하라 이치스케(中原市介) | 중좌 | 1923년 11월 20일[24] ~ 1923년 12월 1일[25] |
나카하라 이치스케(中原市介) | 대좌 | 1923년 12월 1일[25] ~ 1924년 11월 1일[26] |
후쿠이 아이스케(福井愛助) | 중좌 | 1924년 11월 1일[26] ~ 1925년 1월 15일[27] |
6. 평가
筑摩일본어는 사세보 해군공창에서 1910년에 기공되어 1912년 5월 17일에 준공된 일본 제국 해군의 방호순양함이다. 일본 해군 순양함으로서는 최초로 터빈 기관을 채용했고, 동급함 세 척에는 성능 검증을 위해 각각 다른 유형의 기관을 탑재했다.[1]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남태평양, 남중국해, 인도양에서 작전에 참가했다. 1914년 8월 말에는 영국과 공동 작전으로 인도양 · 남양 방면에서 영국 선박을 습격하던 독일의 엠덴에 작전을 펼쳤다. 이부키와 함께 싱가포르를 통해 자바 방면으로 향했지만 출격 정보가 도착 며칠 전에 싱가포르에서 유출되면서 독일 측에 감지되었다. 결국 엠덴을 포착하지 못했으며, 그동안 엠덴은 벵골만에서 영국 기선 5척을 격침시켰다. 싱가포르 일본 영사관 주재 무관 아라키 지로 해군 소령은 “싱가포르에 살고 있는 일본인이 소문을 흘려 작전이 실패해서 영국에 면목이 없다”라고 일본어 신문 기자에게 주민들에게 경고하도록 요구했다고 한다.[1]
1921년부터 1924년까지 주로 중국 해역의 경비 활동을 했다. 1926년 무렵 요코스카 해병단 안벽에 계류되어 있었고, 1931년 4월 1일에 제적되어 폐함 제3호로 가칭되었다.[1]
1935년경 실제 군함의 타겟으로 격침 처분되었다.[1]
참조
[1]
서적
Ships of the Imperial Japanese Navy
[2]
서적
Warships of the Imperial Japanese Navy
[3]
문서
p. 237
[4]
문서
pp.229-231
[5]
문서
画像37-39、明治42年7月13日官房機密第374号
1909-07-13
[6]
문서
p.1061では、明治43年5月25日起工となっている。
1910-05-25
[7]
문서
pp.1057-1087、昭和3年2月14日(内令43)艦船要目公表範囲。
1928-02-14
[8]
문서
画像1『達第百九號 軍艦河内外四隻ニ左ノ通信號符字ヲ點付ス 明治四十四年十月三日 海軍大臣 男爵齋藤實 信號符字 艦名 GQHM 河内 GQHN 攝津 GQHP 筑摩 GQHR 矢矧 GQHS 平戸』
1911-10-03
[9]
문서
p.1〔 達臺三十七號 佐世保海軍工廠ニ於テ製造ノ伊號二等巡洋艦ヲ筑摩ト命名セラル 明治四十四年四月一日 海軍大臣男爵 斎藤實 〕
1911-04-01
[10]
문서
p.39〔佐廠第9号の519 明治四十三年五月廿三日 佐世保海軍工廠長黒井悌次郎 海軍大臣男爵斎藤實殿 軍艦筑摩起工ノ件 軍艦筑摩四十三年五月二十三日起工(キール据附)致候右報告ス 〕
1910-05-23
[11]
문서
画像23、電報「四十四年四月一日発 佐世保海軍工廠○ 本部長ヘ 軍艦筑摩午前九時三十分無事進水セリ」
1911-04-01
[12]
문서
p.1〔 達臺三十八號 艦艇類別東急別表中巡洋艦ノ欄内「利根」ノ次ニ「筑摩」ヲ加フ 明治四十四年四月一日 海軍大臣男爵 斎藤實 〕
1911-04-01
[13]
문서
p.38〔明治四十五年五月十七日 佐世保鎭守府司令長官島村速雄 海軍大臣男爵斎藤實殿 軍艦筑摩竣工ニ付本日授受結了致候右報告ス 〕
1912-05-17
[14]
서적
南洋の五十年
章華社
[15]
간행물
海軍公報(部内限)第992号 昭和6年4月1日(水)海軍大臣官房
1931-04-01
[16]
문서
pp.1-3〔官房第264号 昭和9年1月19日 海軍大臣 横須賀鎭守府司令長官宛 愛品無償下附ノ件訓令 横須賀海軍港務部保管舊軍艦筑摩ノ左記物品ヲ海軍思想普及ノ爲別格官幣社湊川神社宮司藤巻正之ニ無償下附方取計フベシ 追テ現品搬出ニ要スル費用ハ下附ヲ受クル者ノ負擔トス 記 一、後檣 一本(以下略) 〕
1934-01-19
[17]
뉴스
『官報』第530号、大正3年5月7日。
1914-05-07
[18]
뉴스
『官報』第1657号、大正7年2月13日。
1918-02-13
[19]
뉴스
『官報』第1749号、大正7年6月3日。
1918-06-03
[20]
뉴스
『官報』第2793号、大正10年11月22日。
1921-11-22
[21]
뉴스
『官報』第2801号、大正10年12月2日。
1921-12-02
[22]
뉴스
『官報』第3093号、大正11年11月21日。
1922-11-21
[23]
뉴스
『官報』第3251号、大正12年6月2日。
1923-06-02
[24]
뉴스
『官報』第3375号、大正12年11月21日。
1923-11-21
[25]
뉴스
『官報』第3385号、大正12年12月4日。
1923-12-04
[26]
뉴스
『官報』第3659号、大正13年11月3日。
1924-11-03
[27]
뉴스
『官報』第3718号、大正14年1月16日。
1925-01-16
[28]
서적
Ships of the Imperial Japanese Nav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